기획 스터디 4주차
PM 업무 수행하기
강사 : 정재용
날짜 : 2023년 7월 27일 화요일 19:30
스터디 장소 : 케어스퀘어빌딩 지하 2층
2023.07.08 - [IT/웹기획 & 툴] - 기획 스터디 1주차 _ 기획자 및 플랫폼 이해하기, 대화의 기술.
2023.07.11 - [IT/웹기획 & 툴] - 기획 스터디 2주차 _ 기획서 & 제안서 교육과정
2023.10.08 - [IT/웹기획 & 툴] - 기획 스터디 3주차 _ 아이디어 구체화 하기 / IA 만들기 / 스토리보드
용어 구분
PM(Project manager)
: 초기 프로젝트 처음과 끝을 리드하는 사람(기획, 디자인, 퍼블, 개발
PM(Product Manager) & PMO(Poject Management Office)
: 구축되어 있는 도메인 프로젝트를 운영 관리하는 사람
·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도구 , 템플리트 등 개발
· 프로젝트 관리자, 팀원 등에 대한 교육
· Portfolio 분석 및 관리
· 경영층에게 전사 프로젝트 현황 보고
· 프로젝트에 대한 추적과 심사
· 전사 프로젝트관리시스템의 개발과 운영
· 프로젝트 산출물 및 지식관리시스템의 개발과 운영
· 프로젝트 관리 우수사례 발굴 및 전파
· 전사 프로젝트관리의 역량강화
· 프로젝트 관리 소프트웨어 산정과 교육, 기술, 지원
PO(Product Owner)
- 전반 프로젝트의 도메인 전문가로 변화 대응과 통찰력 있게 전반을 이끄는 사람
PM(Project manager)의 역할
주어진 일정 내에 목표를 절차에 맞춰 수행하게 하는 것.
1. 프로젝트 계획
2. 프로젝트 팀 관리
3. 일정관리 : 일정의 1.5를 곱함(버퍼가 필요함)
4. 비용관리
5. 범위 관리
6. 위험 관리
7. 이해 관리자 관리
8. 진행 보고
9. 프로젝트 완료 및 평가
-> 문제 해결을 위한 리더십, 판단, 통찰력, 대화의 기술이 필요함.
한계가 있다 : 일정, 비용, 인력, 기술
*평판조사를 통해 해당 인력에 대한 역랑을 조사함.
모든 업무는 문서로 정리되어 산출물로 저장된다.
1. 프로젝트 계획 → 추진 계획
2. 프로젝트 팀 관리 → 수행 업무 분장 (WBS)
3. 일정관리 → 수행 업무 분장 (WBS)
4. 비용관리 → 견적서, 예산계획
5. 범위 관리 → 변화 대응(요구사항 정의)
6. 위험 관리 → 주간, 월간, 상황보고
7. 이해 관리자 관리 → 주간, 월간, 상황보고
8. 진행 보고 → 주간, 월간, 상황보고
9. 프로젝트 완료 및 평가
추진 계획서
프로젝트 추진계획
→ 마스터플랜을 통해 진행
킥오프(Kick Off) 시행 및 발표
새로운 것에 접근해야 새로운 자산을 얻을 수 있다.
목차 제작 이후 Magic Number3를 결정해야 한다.
표지
목차
1. 사전 조사
2. 프로젝트의 핵심가치
Tip 킥오프 문서는 워드로 먼저 만들어야 함.
"디자인 중심" 사고가 아닌 "내용 중심"의 사고가 우선이다.
킥오프에서 주요하게 다뤄야 할 사항
- 일정
- 인원
- 소통채널
- 주요사업목적 인식공유
- 콘텐츠&마이그레이션 담당자 지정
1. 사전 조사
벤치마킹한 2장의 장표를 넣고 주요 이슈정의와 나의 주장을 펼치세요.
2. 프로젝트의 핵심가치
벤치마킹한 것중 가장 되어 있는 1장의 장표를 넣고 Key point : 3가지 / 고객관점 핵심가치 사업관점 핵심가치를 기술하세요.
3. 전체 프로젝트 플로우
핵심개발 사항(수행범위), 부가지원사항(고려대상)을 정리해 보세요.
4. 단위별 플로우
핵심 개바
5. 주요디자인 컨셉
가장 잘된 사이트 하나를 넣고 그 디자인의 특징과 잘된점을 기술한다.
6. 수행인력
7. 커뮤니케이션 채널
커뮤니케이션 채널 맵을 만들고 기획, 디자인, 개발 등등 가상의 채널을 만들어 보자.
- 채널별 담당자를 지정하여 채널 담당자가 소통할 수 있도록 함.
8. 수행일정
자신이 예측하는 수행일정을 만들어보자
- 큰 덩어리로 나눠서 만든다.
킥오프는 가시적인 그림으로 보여주는 것임
WBS(Work Breakdown Structure)
기획 : 기획 / IA / SB / 보고
디자인 : 디자인 , 디자인 스타일 가이드
개발 :
WBS 구조 (간트 차트 이용가능)
수행계획의 정의
0.8 = 1일
업무 일정에 맞춰지지 않을 때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공정률에 관한 관리가 중요하다.
Ver. 정의
1.01~1.99 기획 단계 : 대표 혹은 의사결정와 함께 결정된 내용
2.01~2.99 구축 단계 : 디자이너와 개발이 시작된 단계
3.0 산출물 : 절대 변화가 없는 것!
견적서 / 예산계획
수행 견적서
회사명 담당자
총견적 비용(VAT)
구축 프로세스 : 직무별 수행일정
구축 상세내용 : 구축 해야 할 프로젝트
인건비
재경비(80~110%)
기술료(10~25%)
제안가
요구사항 정의
예산 <-> 인력
숨어있는 함정
구매가 필요한 솔루션
요구사항 정의서
일정 납기 준수를 위한 요구사항 정의로 PM이 판단하여 중대한 지연사유 시 거절하거나 일정을 조정할 수 있다.
요구사항 정의서는 매우 중요한 문서임으로 다른 사람들이 편집을 하지 못하도록 적절한 조치를 해야함.
보고
최근의 문제는 PM이 SB를 한다는 것임.
산출물관리는 PM의 책임, 2주단위를 보고를 통해 산출물을 관리해야 함.
'IT > 웹기획 & 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CES 2024] 비즈니스 포커스, CES 2024로 본 미래 산업 트렌드 (0) | 2024.01.18 |
---|---|
[기획자료 / 2024 트렌드] 트렌드 코리아 2024 TREND KOREA 2024 Dragon Eyes 요약 (1) | 2023.11.14 |
기획 스터디 3주차 _ 아이디어 구체화 하기 / IA 만들기 / 스토리보드 (0) | 2023.10.08 |
[구글 애널리틱스 / GA4] 데이터 보관 기간을 늘리는 방법 (0) | 2023.07.27 |
기획 스터디 2주차 _ 기획서 & 제안서 교육과정 (0) | 2023.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