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Book/내가 읽은 그 책

HOW TO 중기경영계획 : 수립 & 실행_책 리뷰_기업의 중장기적인 발전 전략 수립

쿵야085 2022. 6. 24. 03:23
반응형

HOW TO 중기경영계획 : 수립 & 실행

책 리뷰_기업의 중장기적인 발전 전략 수립

 

도서명ㅣHow To 중기경영계획 수립&실행
부제 ㅣ숫자와 환경분석은 어떻게 위대한 사업을 만드는가
저자 ㅣ이구치 요시노리
그림 ㅣ마사키 도키
역자 ㅣ복창교
출판사ㅣ경영아카이브
원제 ㅣマンガでやさしくわかる中期經營計畵の立て方.使い方
출판일ㅣ2022.05.25
페이지ㅣ284

 

 

저자 소개

저자 : 이구치 요시노리
井口嘉則
주식회사 유니버설와이넷 대표이사이자, 오피스이구치 대표. 도쿄대학 문학부 사회학과 졸업하고, 시카고대학에서 MBA를 취득했다. 닛산 자동차에 입사해 정보 시스템과 해외 기획 부문에서 중기경영계획 및 사업계획을 담당했다.이후 산와종합연구소, 퓨처시스템컨설팅 등에서 중견기업이나 대기업 경영 컨설팅에 종사하기도 했다.
2008년에 독립해서, 경영 컨설턴트, 기업 연수 강사, 세미나 강사 등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주오대학 비즈니스 스쿨 등에서 객원 교수로서 기업 경영 전략에 대해 가르치고 있다. 대표작으로는 『만화로 입문! 신규 사업 시작하는 법』 『단 3분 만에 극적으로 바꾸는 커뮤니케이션 스킬』 『만화로 쉽게 배우는 사업계획서』 등이 있다.

역자 : 복창교
부산대학교 일어일문학과와 일본 리쓰메이칸대학에서 공부했다. 출판사에서 출판에디터로 일했고, 지금은 번역 및 편집 프리랜서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살인마 잭의 고백』 《청소시작』 『진짜 대화가 되는 영어』 『사료만 먹여도 괜찮을까? 반려견 편』 『사료만 먹여도 괜찮을까? 반려묘 편』 『HOW TO 미의식: 직감, 윤리 그리고 꿰뚤어보는 눈』 『HOW TO 하버드 필드 메소드』 등이 있다.

그림 : 마사키 도키
柾朱鷺
만화가. 『HOW TO 중기경영계획』을 비롯해, 자칫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는 내용을 알기 쉽게 만화로 풀어낸 작품을 많이 그렸다. 대표작으로는 『만화로 쉽게 배우는 앵거 매니지먼트』 『만화로 쉽게 배우는 블루오션 전략』 등이 있다.

 

목차

프롤로그 중기경영계획의 기초
프롤로그검토 시스템 기획

01 중기경영계획의 기초
02 비즈니스 모델의 재검토와 패러다임 전환의 촉구

STEP 1 비즈니스 환경 분석

STORY 1외부사업환경 분석
03외부사업환경 분석
STORY 2 자사경영자원 분석
04 자사경영자원 분석

STEP 2 비전 설정

STORY 3 비전 설정
05 비전 설정

STEP 3 전략 수립

STORY 4 전략 검토
06 전략 수립

STEP 4 활동 및 정량계획 구체화

STORY 5 활동 및 정량계획 구체화
07 활동 및 정량계획 구체화

STEP 5 활동 및 정량계획 구체화

STORY 6 정리와 발표
08 중기경영계획 정리와 발표

에필로그 중기경영계획 수정과 사후관리
STORY 7 에필로그
09 중기경영계획 수정과 사후관리

 

ㅣ 중기경영계획을 위한 스터디

 

단기 전략 혹은 장기전략은 많이 들어보았는데, 중기경영계획이란 말은 사실 처음 들어보는 단어였습니다. 경영학과를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처음 들어보는 용어에 호기심이 생겼는데요. 그리고 불과 5년전까지만 해도 전략이라는 키워드가 핫한 단어였는데, 어느순간 전략이라는 키워드를 듣기 힘들어졌습니다. 대신에 스타트업들이 사용하는 다양한 방법론들이 전략이라는 단어를 대체하듯이 하나의 흐름이 된거 같았습니다. 저는 지금 스타트업에 일을 하고 있지만 전략이라는 단어에 관해서 거의 들어보지 못한거 같습니다. 또한 장기적인 플랜을 수립하는 것이 아니라, 빠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단기전략들이 대부분이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그런 시점에 중기경영계획이란 도대체 무엇인지 궁금해졌습니다. 단기적인 대응에 지쳐있던 시점에 이런 책이 마음과 머릿속을 정리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거란 생각도 들었습니다. 

 

책에서 이야기하는 중기경영계획이란 다음과 같은 내용입니다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1년 단위로 예산 계획을 세웁니다. 하지만 예산은 지금까지의 실적의 연장선상에서 '이대로 가면 이 정도의 매출을 올릴 것 같다'라든가, '이 정도의 이익이 나올 듯하다' 같은 예측을 중심을 해서 짜기 때문에 '개선'정도의 내용밖에 포함시킬 수 없게 됩니다. 

그에 비해서 '변혁'이나 '개혁'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단년도로는 대처하기 어렵기 때문에, 3년에서 5년 정도에 걸친 중기경영계획을 세워 대처하게 됩니다. 비록 중기경영계획이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도 없지 않지만, 현재 회사가 개혁이나 변혁을 요구한다면 계획을 짜고 중기경영계획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사실 이 얘기를 읽으면서 엄청나게 빠른 흐름 속에서 빠른 대응을 요구하는 요즘 세상에 이런 중기경영계획이 필요할까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면서도 대부분의 회사들이 너 빠른 흐름 속에서 '개선' 정도의 계획만 세우기에 큰 그림을 제대로 세우지 못하는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였습니다. 

 

ㅣ 환경분석부터 시작하는 중기경영계획

 

모든 계획은 분석에서 시작한다는 말처럼, 중기경영계획의 첫 단계도 환경분석부터가 그 시작이었습니다. 비즈니스 환경 분석파트는 크게 외부사업환경 분석과 자사경영자원 분석으로 나뉜다고 합니다. 외부환경분석에는 거시적 환경 분석과 시장 환경 분석, 경쟁 환경분석 이렇게 세 가지가 있다고 하는데요. 각각 정보를 수집한 뒤 분석이 이뤄진다고 합니다 

 

각각의 정보를 수집 한 뒤 분석 시에는 아래와 같은 질문을 통해서 나눠볼 수 있습니다. 

 

거시적 환경 분석

 - 사업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 체제, 정책, 법 및 규제상의 움직임은 없는가?

 - 사업운영의 기회 혹은 리스크가 되는 사회 정세나 기술의 변화는 없는가?

 - 사업 수익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나 금융 및 환율 등의 움직임은 없는가?

 

시장 환경 분석

 - 시장의 성장세는? 급성장? 둔화? 감쇠?

 - 매출에 영향을 주는 고객 니즈의 변화는 없는가?

 - 고객의 소비 동향에 변화는 없는가?(호불황에 의한 가계의 긴축, 해방)

 - 보완재, 대체재 시장의 동향과 그 영향?

 

경쟁 환경 분석

 - 경쟁사의 점유율과 그 신장률은 어떠한가?

 - 자사에 위협이 되는 경쟁 전략 전환이나 기술 혁신은 없는가?

 - 기존 비즈니스 모델을 파괴하는 신규 진입은 없는가?

 

저는 이 거시적 환경 분석에서 반가은 PEST 분석을 만날 수 있었는데요. 이전에 전략을 세우거나 할 때는 환경분석을 위해서 꼭 진행했었던 분석이었던 거 같습니다. 그리고 시장 환경 분석, 경쟁 환경 분석 등을 보면서 다양한 환경분석에 관한 틀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이외에도 보면서 신선하게 보았던 것이 바로 '시나리오 플래닝'이었습니다. 시나리오 플래닝이란 원래 미군이 쿠파 위기 때 사용한 방법으로, 케네디 정권하에서 위기를 피하는데 유효했기 때문에 그 뒤 비즈니스에서도 활용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그 방법이란, 우선 자사의 사업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 주요한 요인을 도출하고, 그 요인이 움직임에 대해 복수의 시나리오를 검토한다는 것입니다. 

 

요인이 네 가지이고, 각각 두 가지 시나리오가 있다면, 단순 계산으로 열여섯 가지 시나리오가 생기며, 그중에서 주요한 조합을 골라, 바탕이 되는 것을 '기본 시나리오' 그 밖의 것을 '대체 시나리오'로서 가정하고, 각각의 시나리오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 또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지를 미리 검토하는 것입니다. 

 

ㅣ 기업의 미래를 위한 비전 설정

 

기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 중에 하나가 바로 비전 설정이라는 이야기는 정말 수도 없이 많이 들어왔던 거 같습니다. 그리고 그 비전을 수립한 이유 체크해야 되는 체크 포인트가 다섯 가지가 있다고 책에서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비전을 설정하기 전에 기업의 이념을 확인해야 하는데요. 기업 이념은 그 회사의 존재 의의나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를 표명한 것을 말합니다. 기업 이념에 사용되는 말의 특징으로서 '가치를 제공함'이라든가, '신용을 제일로 여김'이라든가 하는 추상적인 표현이 쓰이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제 경영 비전을 수립해야 하는데요. '경영 비전'이란 '기업 이념에 입각해 실현하고 싶은 미래의 모습'입니다. '되고 싶은 모습' '되어야 할 모습'이라고도 하는데, 이 '되고 싶은'과 '되어야 할'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되고 싶은' 쪽이 소원이나 의욕을 나타내며, '되어야 할'은 당연 혹은 필연이라는 의미를 가진다고 합니다. 

 

그리고 경영 비전을 제시할 때 체크 포인트는 다음 다섯 가지입니다. 

 

(1) 의지가 드러나 있는가

(2) 키워드는 적절한가

(3) 과하거나 부족하진 않은가

(4) 자사다움이 드러나 있는가

(5) 직원의 이해와 공감을 얻을 수 있는가

 

위와 같은 경영 비전의 체크 포인트를 잘 체크함으로써 회사의 구성원 모두가 공감하는 비전을 만들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우리의 회사는 위의 체크 포인트에 모두 적합한 경영 비전이 있는가에 대한 의문에서 아니라는 생각이 들어서 아쉬움이 남기도 했습니다. 

 

ㅣ 중기경영계획을 진행하며 부딪히는 고민

 

이 책을 읽으며 좋았던 점은 시작부터 책의 마무리까지 짜임새 있게 구성이 되었다는 것인데요. 왜 중기경영계획이 필요한가로 시작하여서, 중기경영계획을 어떻게 만들어가고 실행해야 하는지에 관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마지막은 중기경영계획을 수정하고 사후관리하는 방법까지 알려주면서 깔끔하게 마무리를 하고 있습니다. 

 

그럼 중기경영계획을 하다 보면 어떤 고민에 마주하게 되는 것일까요? 바로 아래와 같은 고민들을 하게 된다고 합니다. 

 

(a) 경영 목표가 너무 높아 실적과 크게 괴리되어 있다

(b) 계획을 수정해야 하는가, 그대로 두어야 하는가

(c) 계획을 롤링 방식으로 해야 하는지, 픽스 방식으로 진행해야 하는지

(d) 계획이 예산에 반영되지 않았다

 

그럼 이 고민들은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이 문제에 관해서는 이제 책을 통해서 자세 알아보면 좋을 거 같네요. 

 

책을 읽는 내내 이전에 배웠던 전략 개념들 외에도 전략을 세우고 실행을 어떻게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관리해야 되는지에 관해서 자세히 나와 있는 책이라서 실무적인 관점에서 도움이 많이 될 수 있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점점 이런 경영계획과 전략이라는 단어를 쓰는 회사가 많지 않은 만큼 적절히 실무에서 문서를 작성하면 잘 활용한다면 회사에서도 도움이 많이 될 거 같습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반응형